상속의 이미 자체가 is-a 관계다.

기본 클래스에 적용되는 모든 것들이 파생 클래스에 그대로 적용 되어야 한다.

왜냐면 모든 파생 클래스 객체는 기본 클래스 객체의 일종이기 때문이다.

인라인 함수는 작고, 자주 호출되는 함수에 대해서만 하는 것으로 묶어두자

그러면 디버깅, 라이브러리의 바이너리 업그레이드가 용이해 지고, 자칫 생길 수 있는

코드 부풀림 현상이 최소화 되며, 프로그램의 속력이 더 빨라질 수 있다.


인라인은 요청이지 명령이 아니다.

굳이 선언 하지 않아도 컴파일러가 알아서 등록 해주는 것도 있다.

다른 방법이 있다면 캐스팅은 피하라.

구형 스타일의 캐스트를 쓰려거든 C++ 스타일의 캐스트를 선호하라.



« PREV : 1 : ···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 : 77 : 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