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프리터 방식과 컴파일 방식
Posted 2015. 4. 5. 12:06컴파일은 전체 소스 코드를 기계어로 변환 하는 방식이고
인터프리터 방식은 실행될때마다 한줄씩 코드를 해석하고 기계여로 변환 하는 방식 이다.
스크립트 언어들(PHP, JavaScript.. 등등 )이 인터프리터 방식이다.
이 방식인 이유는 웹 프로그램의 특성상 소스 코드는 원격 컴퓨터(서버)에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수정하면 반드시 업로드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업로드 후에는 웹 브라우저도 확인을 해야 한다. 이 과정이 번거롭기 때문에 소스 코드를 직접 서버에 업로드하여 작업하는데 FTP를 지원 하는 프로그램을 이요하면 코드를 수정하는 것 처럼 저장할때마다 반영이 된다. 요즘은 두가지를 혼합한 방식을 사용 하여 속도를 개선중이다. 최초로 실행된 경우 컴파일 작업을 하고 두번째 부터 이미 컴파일된 파일을 재사용 한다. 소스가 수정 되었다면 다음 접속에선 다시 컴파일 작업이 시작된다.
'PHP'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 php의 기본 작성 방식 (0) | 2015.04.05 |
---|---|
1-3. 간단한 예제로 시작(HTML방식 및 태그의 의미) (0) | 2015.04.05 |
돈 한푼 안들이고 웹 서버 구축( APM ) autoset.org (0) | 2015.04.05 |
1-2. 웹 프로그래밍의 구성요소( 웹 서버, DB, 스크립트언어 ) 및 방식 (0) | 2015.04.04 |
1-1. 웹 방식으로의 진화( 스크립트 방식 ) (0) | 2015.04.04 |
- Filed under : PHP